소장
길이: 사체에서처럼 근육 벽의 긴장도가 없을 때 5.5-6 m. 살아 있는 사람의 소장 길이는 절반 정도인 약 3 m다.
소장 부위 십이지장은 길이 25 cm, 지름 5 cm로 고정되어 있는 후 복강 장기다. 나머지 소장의 근위부 2/5를 공장(jejunum) 그 밖의 소장은 회장(ileum)이다. 공장과 회장 사이는 명확한 경계가 없으나 대체로 공장은 회장에 비해 지름이 크고 벽이 두껍고 혈관이 풍부하다.
소화관 호르몬
호르몬 |
공급원 |
기능 |
Gastrin |
위 점막세포, 음식물에 반응 |
위샘 분비 활동 자극 |
장 가스트린 |
장 점막 세포, 유미즙에 반응 |
위샘 분비 활동 자극 |
소마토스타틴 |
위 점막 세포 |
벽 세포의 산 분비 억제 |
장 소마토스타틴 |
장 점막 세포, 지방에 반응 |
벽 세포의 산 분비 억제 |
CCK(콜레시스토키닌) |
소장 점막 세포, 소장 내 단백질과 지방에 반응 |
위샘 분비 활동 감소, 위 운동 억제, 췌장에서 고 농도의 소화액 분비 촉진, 담낭 수축에 의한 담즙 분비 촉진 |
시크리틴(secretin) |
십이지장 점막세포, 소장으로 들어온 산성 유미즙에 반응 |
췌장에서 고농도의 중탄산 이온을 포함한 소화액 분비 촉진 |
소장벽 구조
내벽은 벨벳과 비슷한 모양이다. 장 융모(intestinal villi)라고 하는 많은 점막 주름 때문이다. 소장 융모는 십이지장과 공장 근위 부에 가장 많이 존재한다. 소장 내 음식물과 접촉 면적을 늘려 소화 산물의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구조이다. 각 장 융모는 단층 원주 상피로 덮여 있고 모세혈관과 유미 림프관(lacteal=림프 모세관), 신경을 포함한 결합 조직으로 구성된다.
융모의 내강 쪽 표면에는 미세 융모(microvilli)라고 하는 많은 미세 돌기가 있고 이 미세 돌기가 솔 모양 가장자리(brush border)를 형성한다. 미세 융모는 장 세포의 표면적을 더욱 넓혀 흡수를 증가시킨다. 모세 혈관과 모세 림프관은 흡수된 영양분을 운반하며 신경은 융모의 활동성을 증가시키거나 억제하는 자극을 전달한다. 인접한 융모와 융모 사이의 기저부는 관 모양의 장 샘(intestinal gland, crypts of Lieberkuhn)이 점막 아래쪽으로 뻗어 있다.
소장 분비
1) 소장 전체에 걸쳐 점액을 분비하는 술잔세포(goblet cell)가 풍부하다 2) 십이지장 근위부 점막하층에는 점액 분비샘(mucus secreting gland, 브루너샘, Brunner’s gland)이 존재한다. 이 샘은 자극에 반응하여 점성이 높은 알칼리성 점액을 다량 분비한다. 3) 소장 점막 상피는 3-6일 마다 새것으로 교체(세포 교체 cellular turnover)된다 4) 장 샘에서는 다량의 묽은 액체를 분비한다. 융모는 소화 산물을 재빨리 흡수하고 장 샘에서 분비된 소화액의 pH는 중성에 가깝다(6.5-7.5). 소화 효소는 거의 없다. 5) 소장 점막 상피 세포의 미세 융모 표면에 소화 효소가 존재하여 흡수 전에 음식물을 분해한다. 펩피다제는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분해하고 슈크라제, 말타제, 락타제는 이탄당을 단당류인 포도당, 과당, 갈락토스로 분해한다, 장 리파제(intestinal lipase)는 지방을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한다. 6) 소장 점막에 가해진 기계적 자극이나 위액 등의 자극성 물질에 의해 소장 점막의 점액 분비 샘을 자극하여 다량의 점액을 분비한다. 유미즙의 기계적, 화학적 자극으로 술잔 세포와 장 샘을 자극하여 분비를 촉진한다. 소장 벽이 팽창되면 소장벽 내의 신경 얼기를 자극하여 부교감 신경 반사를 유발함으로써 소장액 분비를 촉진한다
유당 불내성(lactose intolerance)
성인은 대개 유당(lactose)를 분해시키는 락타제가 없다. 이 상태를 유당 불내성이라고 한다.유당이 소화되지 않아 그대로 남게 되면 장내 삼투압 증가시켜 소장 내로 수분을 유인하고 동시에 소장 내 세균이 유당을 대사시켜 유기산과 가스를 생산한다.. 장 팽창, 장 경련, 설사 등을 유발한다. 유당 불내성 환자는 식사 전에 알약으로 된 락타제를 복용하며 유아는 우유 대신 두유를 섭취한다
소장 흡수 소화산물, 수분, 전해질을 흡수한다. 소장 원위부 말단에서는 흡수할 물질이 거의 없다
지방 흡수
1) 소장 점막 및 췌장 효소로 소화된다 2) 형질 내 세망에서 지방산을 지방으로 재 합성한다 3) 이 지방이 모여 덩어리를 형성한 후 단백질(lipoprotein)과 결합한다. 지방과 단백질이 결합한 지단백질 형태가 유미입자(chylomicron)다. 유미입자는 융모의 유미 림프관으로 이동하여 흉관과 이어진 유미조(cisterna chyli)를 경유하여 혈관으로 진입한다. 4) 유미입자는 근육 및 지방세포에 분포하는 모세혈관으로 운반된다. 5) 유미 입자 표면의 특정 단백질(아포 단백질)은 모세혈관 내벽에 붙어있는 LPL(lipoprotein lipase; 지질 단백질 리파제)을 활성화시켜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라이드가 유미 입자에서 떨어져 나온다. 지방산은 근육이나 지방세포로 들어가 에너지원이 되거나 저장된다. 6) 유미 입자 잔여물은 다시 혈액을 타고 간으로 이동하여 간세포로 들어가 간세포 내의 용해 소체에서 분해된다. 전해질은 거의 능동 수송으로, 물은 삼투작용으로 흡수된다
대장
대장은 길이 1.5 m로 소화되고 남은 유미즙으로 부터 수분과 전해질을 흡수하고 수분과 소화액의 나머지를 재 흡수하여 재활용한다. 대장은 대변을 만들고 저장한다. 맹장, 결장, 직장, 항문관으로 이루어진다. 항문관은 2.5-4 센티 길이이며 점막에 6-8개의 세로로 배열된 항문기둥(ANAL COLUMN)이 있다.
항문에는 2종류의 괄약근이 있는데 평활근으로 이루어진 내 항문 괄약근과 골격근으로 이루어진 외 항문 괄약근이다.
대장벽에는 소장의 특징적인 구조인 융모와 돌림 주름이 없다. 세로근 섬유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대장 벽을 덮고 있지 않다. 3부위에서 세로근 섬유가 두꺼워져 결장끈(TENIAE COLI)을 형성한다.
기능 소화기능이 거의 없다. 대장 점막에도 관상 샘이 존재하지만 대개 술잔세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대장의 유일한 분비액은 점액이다. 유미즙에 의한 기계적 자극과 부교감신경 충동이 점액 분비를 조절하며 유미즙 통과 시 점막을 보호하고 대장 내 pH를 조절한다. 그러나 장내 세균에 의해 대변으로 산이 방출될 수 있다. 대장으로 들어온 유미즙에는 소장에서 소화,흡수되지 않은 물질과 수분, 전해질, 점액, 세균 등이다. 이들 물질을 장내 세균 총이 분해한다. 똥은 소화, 흡수되지 않은 물질과 수분, 전해질, 점액, 세균 등이 혼합된 것이다. 똥 냄새는 세균이 생성한 물질의 다양성 때문에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페놀, 황화수소, 인돌, 스카톨, 암모니아 등이 포함되면 구린 냄새가 난다.
장 가스, 설사, 변비 장 가스의 99%는 숨쉬거나 먹는 동안 삼켜진 질소와 산소이며 나머지는 소화되지 않은 음식을 세균이 발효하여 생성된 메탄이나 이산화탄소 그리고 수소다. 장 가스의 냄새는 장내 세균에 의해 단백질 내의 질소와 황으로 만든 암모니아, 황화수소 때문이다. 대개 사람들은 하루에 0.5 리터의 장 가스를 배출한다. 콩 등 소화가 잘 되지 않은 음식을 먹으면 그 양이 더 많아진다. 음식에 황이 포함된 아미노산이 많을 때는 장 가스가 더 고약한 냄새를 발산한다. 콩, 브로콜리, 브르셀 싹, 양배추, 컬리 플라워, 양파 등은 황을 함유한다. 식사를 천천히 하고 젖당 과민성 사람은 우유를 피하여 장 가스 생성을 줄인다
소화장관 차단벽(GIB; GastroIntestinal Barrier)
위장관 점막은 영양소, 독성 물질, 세균 등이 정체, 통과하는 위장관 내강(luminal environment)에서 신체를 보호하는 차단벽을 형성하여 위장관 점막 상피 세포를 통해 유익한 영양소는 통과시키고 해로운 분자 물질이나 미생물의 통과를 제지한다. 이와 같은 위 장관의 배제 성질(Exclusionary properties)을 위장관 차단벽(GIB)이라고 한다 여러 종류의 위장관 질환이 GIB를 파괴하여 전신 질환으로 확대시키고 전신 질환은 다시 GIB에 손상을 주어 이미 망가진 GIB를 더욱 훼손하는 악순환 과정을 밟는다.
위 장관의 방범 시스템은 3중 잠금 장치
인체는 영장(靈長)이다. 최고의 진화 산물 아닌가? 인체 생리의 심층에 진입할수록 항상성(恒常性)의 신비는 40억년의 진화나 우연만으로는 결코 설명할 수 없다. 그야말로 신성(神性)이 개재(介在)된 피조의 생물체라는 사실로 접근할 수 밖에 없다. 인간이 처한 자연 환경은 척박하기 짝이 없다. 인체가 의지하며 살고 있는 하늘과 땅, 그리고 물까지도 항상 우호적이지 않고 안전하지도 않다. 살인적 추위와 더위, 비바람의 환경적 공격, 세균, 바이러스 등 미생물의 생물학적 공격, 각종 독소, 노폐물, 인위적 오염 물질 등 화학적 공격이 멈추는 일이 없다. 감사납고 살풍경한 환경에 유기(遺棄)된 인체다. 매일 1000~2000개의 암 세포가 잠입해도 인체는 미동도 하지 않고 질서의 틀 안에 암세포를 가두고 만다. 정교하고 위대한 인체 치안 유지 시스템 덕분이다. 인체 치안을 상시 위협하는 불량배나 무단 침입자를 소리 없이 제압하여 인체의 평화를 유지하는 면역 시스템이야 말로 인체를 지켜주는 수호 천사가 아닐 수 없다.
인체의 위 장관은 신체 외부 장기로 분류한다. 신체 내부를 관통하긴 하나 기능적으로는 식물의 뿌리와 유사하며 섭취한 모든 음식은 단순히 9 미터에 이르는 장관을 통과하여 배출되기 때문이다. 식물의 뿌리가 자신이 필요한 영양소를 토양에서 흡수하듯이 위 장관 내부 점막 융모 상피에서 인체에 필요한 영양소를 음식에서 흡수하기 때문이다. 인체의 위 장관 내 외피를 뒤집어보면 이해하기 쉽다. 장 점막 융모가 음식이라는 토양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모습이 토양에 뿌리를 내린 식물과 흡사하다. 토질이 좋아야 식물이 튼튼하다. 마찬가지로 음식의 질(食質)이 좋아야 인체가 건강하다. 토양에는 식물의 필수 영양소뿐 아니라 각종 세균, 오염물질, 독소가 가득하다. 인체가 섭취한 음식에도 필수 영양소는 물론 여러 가지 세균, 바이러스, 화학적 독성물질, 노폐물이 가득하다.
인체 장기 가운데 소화기관만큼 각종 유해 물질과 미생물의 공격을 받는 기관은 없다. 따라서 위장관 및 소화 기관은 철저한 치안 유지 시스템을 내장하여 인체 최대의 면역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위 장관은 유해물질이나 병원성 미생물의 최고 침입 경로이며 인체 면역의 70%를 차지하는 최대 방어 기관이다. 위 장관은 인체를 침해하는 어떠한 유해체(有害體)라도 이를 차단, 제거하여 인체 건강을 수호한다. 세 겹으로 이루어진 철벽 방어 체계가 작동되기 때문이다. 성벽에서 분사된 화학 무기, 성벽의 요새화, 최정예 경찰 병력 등 3중 방호 철벽 방범 시스템으로 성채를 보호한다.
|
장누수증후군(2)
1차 방어선 “외인성 GIB” (Extrinsic Gastrointestinal Barrier)
1) 점액 및 중탄산염 (Mucus & Bicarbonate)
위 장관 상피는 모두 점액으로 코팅되어 있다. 점액은 상피 세포에서 생성된다. 점액은 그자체로 차단벽으로 기능할 뿐 아니라 점막 상피에 대한 ‘쉬어 스트레스’(Shear stress ; 층 밀리기 변형력, 엇갈린 힘, 활응력;滑應力, 전단응력;剪斷應力)를 경감시킨다. 점액에 들어있는 여러 종류의 탄수화물이 세균을 감금하여 집락(集落) 형성을 방지하고 또한 이들 세균을 응집시켜 제거하며 수용성 물질의 확산이 더딘 점액의 특성 때문에 위산 등 유해 화학 물질의 세포 내 확산을 감소시킨다. 위 장관을 점액으로 코팅하는 기능 외에도 위와 십이지장 상피 세포의 첨단 면에서 중탄산염을 분비하여 점막 상피 세포막을 따라 pH를 중성화한다.
2) 프로스타글란딘(PG), 트레포일(Trefoil) 단백질, 일산화 질소, 항균 펩타이드 등 화학 무기와 사이토카인 등 주변 분비 호르몬은 적의 침투를 차단하는 최일선 방어선을 구축한다. PG와 프로스타사이클린(prostacyclin)은 점액 분비 촉진, 중탄산염 분비 촉진, 점막 혈류 증가, 상피에 대한 산(酸)의 역 확산을 억제하여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다. 표피 성장 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와 변형 성장 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알파 (TGF-알파) 등 펩타이드는 둘 다 동일한 수용체에 결합하여 상피 세포 증식을 자극하고 섬유아 세포 성장 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간 세포 성장 인자 (Hepatocyte growth factor)등 기타 사이토카인은 위장관 궤양 치유를 독려한다. TREFOIL 단백질은 위장관 점막의 술잔 세포에서 분비되는 펩타이드로 상피 세포의 첨단 면을 코팅시키고 분자 구조상 단백질 용해에 의한 파괴를 방지한다. 트레포일 단백질은 점막 통합성, 병변 복구, 상피 세포 증식에 일정 역할을 하며 다양한 독성 화학 물질과 약물로부터 점막 상피를 보호한다. 일산화 질소(Nitric oxide; NO)는 점막 통합성 및 차단벽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또 하나의 물질이다. 일산화 질소 공여제는 알코올 등 독성 화학 물질(Toxic chemical), 허혈(ischemia)이나 재관류(Reperfusion) 등에 의해 유발된 점막 손상(Reperfusion injury)을 경감시킨다. 그러나 일산화 질소는 일부 소화기 질환이 있을 때 오히려 점막 손상을 야기하는 역설적 기능도 있다. 차단벽 기능이란 위장관 강에 잠입한 세균이 장점막 상피를 통한 침투를 방지하는 것이다. 파네트 세포(Paneth cell)는 소장 음와(Crypt)에 존재하는 과립 상피 세포다. 파네트 세포에서 항균 펩타이드를 합성, 분비하는데 이 물질 가운데 한가지가 알파 디펜신(Defensin)이다.이 물질은 잠재 병원체에 대해 항균 작용이 있다. 이와 같은 비특이성 항균 분자 외에도 위장관 면역 시스템이 차단벽 기능을 지원한다. 위장관 면역 시스템 가운데 한가지는 Secretory IgA다. 이 항체는 상피 하 형질 세포에서 분비되며 transcytosis에 의해 상피 세포를 빠져 나온다. 위장관 강 내 SIgA는 세균이나 기타 항원과 결합하여 항원 침입을 차단하며 이전에 노출된 항원에 특이적으로 작용한다.
3) 당피(糖皮, 당질피질; 糖質皮質; Glycocalyx)
일부 세균이 만들어내는 세포 외 중합체 물질(Extracellular polymeric material)이며 상피세포에서 분비된 다당류에 붙여진 명칭이다. 이 물질은 상피 조직 표면을 코팅한다. 일반적으로 세균 세포막 외에 존재한 다당류 화합물을 일컫는다. 점액층(Slime layer) 세포외 중합체 물질(EPS), 기질 중합체(matrix polymer)라고도 한다. 세포 표면을 덮는 다당류 또는 당단백질이다. 미생물에서 생산되는 아교 같은 물질로 셀룰로스 섬유에 부착된다. 소화기계 특히 소장 미세 융모의 첨단 부에서 발견된다. 상피 세포벽에서 돌출된 당 단백질로 구성된다. 흡수를 위한 추가 면을 제공하고 단백질 및 슈가 소화에 필수적인 효소(상피세포에서 분비)를 포함한다. 일부 세균이나 세포에서 생산되는 세포 물질로 어류 몸체의 끈적거리는 물질도 당피이며 상피 세포에서 분비된 기질로 상피 조직 표면을 코팅한다.당피는 세포의 단 껍질(sweet husk)로서 세포 표면에서 돌출된 다당류 그물망이다. 세균을 보호하고 세균이 불활성 표면(치아나 바위 등)이나 다른 세균에 부착되는 것을 돕는다. 당피가 서로 융합하여 세균 집락을 둘러싼다. 금속 임플란트 등 불활성 물질에 존재하기 때문에 세균이 당피를 통해 금속 등 불활성 물질에 달라붙어 심층 감염을 제거하기 어렵다. 이때 창상 감염을 완전히 제거하려면 hardware device를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젤라틴성 당피를 캡슐이라고 한다. 반면에 불규칙한 미만성 층은 점액층(slime layer)라고 한다. Glycocalyx는 세균이 식균되는 것을 방지한다. 치아나 바위 같은 불활성 물질 표면을 코팅하여 균막(biofilm)을 형성한다.
세균 캡슐(Bacterial capsule), 점액층(slime layer): 세균은 적색으로 염색되고 점액층은 적색 세포를 둘러싸는 투명한 달무리처럼 보인다. 당피의 기능은 세포막의 쿠션으로 작용하여 세포를 화학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또한 면역계로 하여금 병원성 미생물이나 암세포를 인식하게 하여 처리케 한다. 그 밖에도 세포를 한데 묶어 탈락을 방지하는 세포 유착 기능도 있다.
4) 면역 글루블린 A(Secretory Immunoglobulin A; SIgA)
점액 분비물에서 발견되는 면역 글로불린이며 장 세포(enterocyte)에서 만들어진다. SIgA는 점막 면역(mucosal immunity)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여러 종류의 병원성 물질을 포획하여 활성을 정지시키는 움직이지 않은 항체다. 장 점막뿐만 아니라 눈물, 타액, 초유, 장액, 질 액, 전립선 액, 호흡기 상피 등에도 존재하며 혈액에도 소량 함유한다. 효소에 의한 분해에도 저항하기 때문에 소화기계 및 호흡기계와 같은 험난한 환경에서도 기능을 잃지 않아 세균 감염에 대항한다. SIgA는 장관 강 내에 존재하는 세균, 음식 잔여물, 곰팡이, 기생충, 바이러스에 대한 신체의 일차 방어선이다. 따라서 SIgA가 떨어지면 감염에 민감해진다. 영양 불균형, 스트레스, 생활 습관 등이 SIgA 농도에 영향을 미친다. SIgA는 장내에 불법 체류한 바이러스를 중화시키거나 플라스미드(Plasmid)를 제거하고 세균 집락을 억제하는 등 면역 기능 및 항염 기능을 한다. 그 밖에도 장내 음식 분자, 기타 커다란 분자 물질 흡수를 제압하기도 한다. 천식, 자가 면역 질환, 스트레스 증가, 항생제 사용자, 칸디다 감염, 소아 지방 변증, 자폐증, 음식 앨러지 및 불내성,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때 감소되거나 결핍되며 이때에는 여러 정도의 영양소 흡수 장애 및 음식 앨러지에 민감해진다
장누수증후군(3)
2차 방어선 “내인성 GIB” (Intrinsic Gastrointestinal Barrier)
위 장관 점막은 수 겹의 상피 세포층으로 도배되어 있다. 상피 세포는 거의 예외 없이 인접한 상피 세포와 접착반(tight junction)으로 얽매어져 연결, 밀봉된다. 세포와 세포간 공간(paracelluar space)을 밀봉함으로써 물리적 GIB를 형성한다. 위장관 점막의 상피세포가 정상을 유지하는 일은 GIB 통합성에 절대적인 전제 조건이 된다. 상피 세포 한층 만을 손상시키는 독소(toxin)나 미생물은 전신 순환계에 진입할 수 있다.
상피 세포의 타입에 따라 특이한 차단 기능을 한다. 위장의 벽 세포와 주 세포의 첨단면 세포막은 단백질에 대한 투과성이 낮아 산의 세포 내 역 확산(Back diffusion)에 의한 점막 손상을 방지한다. 그러나 소장 상피 세포는 이와 같은 기능이 없기 때문에 산에 의한 손상에 민감하다. 위장관 상피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접착반(Tight junction)은 내인성 차단벽의 중요한 부분이다. 여태까지는 용접 물질과 유사 구조물로 간주되었지만 실제로는 훨씬 동적(動的) 구조물이라는 것이 최근 연구 결과이다. 상피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에 의해 투과성이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장관 상피는 기능적으로 성숙한 다양한 세포로 구성된다. 이들 세포는 줄기세포에서 유래된다. 성숙한 상피 세포인 위장의 점액 세포, 소장의 흡수 세포는 3~6일 정도의 신속한 교체율을 보인다. 따라서 상피의 통합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세포 증식과 세포사(apoptosis)간의 정밀한 균형이 필수적이다. 위장관 상피 세포의 지속적인 교체를 지원하는 줄기 세포는 위, 소장, 대장 음와(陰窩; gastric pit)의 중간 부위에 위치한다. 줄기 세포가 계속 증식하여 세포를 공급하고 이들 세포가 흡수 세포, 술잔 세포, 장 내분비 세포, 파네트 세포 등으로 분화된다. 파네트 세포를 제외한 다른 세포들은 음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성숙한 형태로 분화되어 융모 끝에서 수명이 다한 세포를 밀어내고 그 자리를 채운다.
장누수증후군(4)
3) 3차 방어선 “점막 연관 임파조직” MALT (Gut 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는 소화기관 면역계로 외부 침입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 신체 면역계의 약 70% 가 소화 기관에 존재한다. MALT는 몇 개 타입의 임파 조직 (lymphoid tissue)로 이루어져 있고 면역 세포를 생산, 저장하여 병원균을 공격하거나 방어한다.
소화 기관의 임파 조직(Lymphoid tissue)은 편도(Tonsils), 아데노이드(Adenoids ; Waldeyer's ring), 파이어판(Peyer's patches), 충수 돌기 및 대장, 식도 등에 깔려있다.
MALT(Mucosa-associated lymphatic tissue)는 위장관, 갑상선, 유방, 폐, 침샘, 눈, 피부 등 신체의 다양한 장소에서 발견되며 소량의 임파조직이 전신에 흩어져 분포하는 시스템이다. 임파 조직, 위장관, 갑상선, 유방, 폐, 타액선, 눈, 피부 등에 분포한다. 이곳에는 T 세포가 밀집되어 있고 장 점막 상피를 통해 진입하는 항원에 맞서 싸운다. B세포, 형질 세포, 활성화된 TH 세포, 대식 세포가 느슨한 덩어리(CLUSTER)를 형성하고 있다.
점막 연관 임파조직(MALT)은 부위에 따라
1) 장연관 임파 조직(GALT; Gut-associated lymphoid tissue) 2) 기관지 연관 임파 조직(BALT; Bronchial-associated lymphoid tissue) 3) 코 연관 임파조직(NALT; Nose-associated lymphoid tissue) 4) 피부 연관 임파 조직(SALT; Skin-associated lymphoid tissue) 5) 혈관 연관 임파 조직(VALT; Vascular-associated lymphoid tissue) 등으로 나눈다. 파이어판(Peyer's patches)은 소장 내벽에서 발견되는 GALT의 일부이며 VALT는 동맥 벽에 존재하나 면역 반응 기전은 아직 확실하지 않다
회장 말단부의 파이어판(Peyer’s patch)
Peyer는 최초 발견자인 스위스 해부학자 이름이다. 회장의 끝 부위에 위치하는 임파 조직의 응집체로 장 상피 일부가 두꺼워지고 길어져 길이가 수 cm 정도에 이르며 육안으로 확인되는 구조다. 현미경으로 들여다 보면 임파절과 유사한 타원형이거나 둥근 형태의 임파 소포(follicle)로 보인다. 점막층에서 점막하층까지 연장되어 있다. 성인의 경우에는 소포(follicle)의 배아 센터에 B 임파구가 많이 존재한다. 위 장관 강은 출입구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장기이기 때문에 위 장관 강에 진입하는 음식이나 물질은 모두 잠재적 병원성 미생물을 대동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파이어판은 장 관강을 면역적으로 감시하고 점막 내에서 직접 면역 반응을 일으긴다. 장관 강으로 진입하는 병원성 미생물이나 항원 물질은 파이어판 및 기타 GALT 내에 존재하는 대식 세포, 수상 세포, B 임파구, T 임파구과 조우한다. 파이어판은 M 세포라는 특별한 세포를 포함하고 있다. M 세포는 장관 강에서 항원을 직접 샘플링하여 항원 제시 세포(APC)에 전달한다. 파이어판에서 항원과 조우하면 B-세포와 기억세포가 자극된다. 이들 세포는 장간막의 임파절을 통과하면서 면역 반응이 증폭된다. 활성화된 임파구는 흉관을 경유, 혈류로 진입하여 장으로 이동, 최종 임무를 수행한다. 파이어판은 면역 반응에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지만 이것이 과다 성장하면 비후되어 본태성장 중첩증을 일으킬 수 있다
회장 말단부. 위 사진은 장점막에 색깔이 더 진한 타원형의 파이어판(Peyer's patches)이 서 너 개가 보이는데 이는 점막 하 임파조직이 집적된 것이다. 가로 주름이 공장만큼 현저하지 않다. 말단부의 장간막 부착 부위 반대측에 위치한 임파조직의 소포다.
파이어 판은 회장 말단부에 위치한다. 점막의 M 세포가 장관강에 체류한 큰 분자량의 항원을 임파구로 전이시킨다. CD8+ T 세포(CD8+)는 상피 표면에 흩어져 있고 고유판은 CD4+ T 세포와 B 세포를 함유한다.
임파 소결절의 집합체다. 회장 점막에 있다. 장에 진입하는 병원체 및 독소에 대한 반응으로 면역 글로블린을 생산하는데 역할을 한다.
장누수증후군(5)
장 조직학 상식
소장의 길이는 약 6 m 정도다. 십이지장, 25 cm 공장, 2.4 m 회장, 3.6 m다. 십이지장은 후 복강에 고정되어 있고 공장은 십이지장을 제외한 소장 길이의 40%, 회장이 60%를 차지한다. 회장 점막의 가로주름은 근위부에서 원위부로 갈수록 편평해지거나 소실된다.
장은 점막층(mucosa), 점막하층(submucosa), 근육층, 장막층으로 구성된다. 점막(Mucosa)은 융모, 중심 혈관, 임파관, 상피 세포층, 고유판, 점막 근육을 포함한다. 십이지장 융모는 짧고 땅딸막하나(short & stubby) 공장 융모는 키가 크다, 회장 융모는 중간 높이로 미세 융모를 함유한다. 융모와 장샘(crypt) 길이 비율은 3 - 5 : 1 이며 주로 원주 상피 세포와 술잔 세포를 함유한다. 장 세포 5개당 임파구 1 개의 비율이다. 임파 조직 근처에 있는 융모는 짧고 일그러져 있다.
장 흡수 세포(Absorptive cells)는 장관 강 쪽으로 미세 융모를 형성한다.이 상태를 “솔 가장자리” (쇄자연 ‘刷子緣’ 솔변연 ‘邊緣’ brush border)라고 한다. 십이지장(융모 및 부르너샘): 적색 화살표 – 융모/청색 – 부르너 샘/노란색– 리버쿤 장샘(Crypts of Lieberkuhn)
십이지장: 청색=점막/적색=점막하층/녹색=근육층/황색= 가로주름/흑색=장 융모 리버쿤 장샘(음와. Crypts of Lieberkuhn)은 상피 세포 층의 하부 20% 부위다. 분화가 되지 않은 미성숙 장샘 세포(crypt cells), 파네트 세포(Paneth cell ; 항균 단백질을 함유한 커다란 호산성 과립 세포) 술잔 세포, 내분비 세포로 둘러싸여 있고 이온, 물, SIgA, 항균 펩타이드 등을 장관 강으로 분비한다. 장샘 세포가 표면까지 이동하는데 3-8일 걸린다. 따라서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들 세포는 방사선 치료 및 화학요법에 매우 민감하다.
고유판(Lamina propria)은 느슨한 결합조직으로 임파구, 형질세포, 호산구, 대식세포, 호중구, 호산구, 비만세포(mast cell)을 함유한다 점막하층(Submucosa)은 결합조직, 혈관, 임파관, 점막하 마이스너얼기, 그리고 십이지장에 부르너샘(Brunner’s glands)이 있다. 부르너샘은 12 지장에 위치한 점막 하 점액선으로 중탄산 이온, 당 단백, 펩시노겐 II를 분비한다. 위장 유문 점액선과 유사하다.
술잔세포 및 장 점막 세포: 흑색=미세융모/적색=장점막세포/청색=술잔세포
녹색=술잔세포/청색=장내분비세포/적색=파네트세포(Paneth Cell)
근육층은 내측의 환상(가로)근육과 외측의 세로근육이 있다. 이들 층간에 근육층 신경 얼기[총; myenteric (Auerbach’s) plexus]가 위치한다. 이 신경 얼기는 interstitial cell of Cajal, 신경절 세포(ganglion cells), 섬유아 세포를 포함한다 장막(Serosa)은 느슨한 결합조직이다.
내분비 세포(Endocrine cells) 췌장 세포, 담관 세포, 폐 세포, 갑상선 세포, 요도 세포와 비슷하여 분비성 단백질을 함유한 호산성 과립이 있고 세포 핵은 기전부가 아닌 장관 강 쪽에 위치한다. 정상 소장 점막에 기다란 융모가 보이고 간혹 술잔세포가 나타난다
소장 점막은 단순 원주 상피이며 흡수 장세포와 분산된 술잔 세포가 있다
GIB의 분포
강력하고 다양한 GIB 차단 시설에도 불구하고 위장관 차단벽은 언제라도 파손될 수 있다.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국소 감염, 독소, 물리력 또는 일부 전신 질환이 GIB를 손상시킨다. 손상 정도가 경미할 때는 쉽게 복구될 수 있지만 광범위하고 심한 손상은 여러 가지 건강상 문제점을 야기하거나 때로는 치명적일 수도 있다. 허혈이나 재 관류 손상에 의한 GIB 파손이 많은 편이다. 허혈은 혈류가 불충분하여 세포 통합성 유지에 필요한 산소 및 영양소 공급이 어려운 상태이며 재관류 손상은 허혈 조직에 다시 혈류를 복구시킬 때 파생되는 손상이다.
위장관 허혈은 순환성 쇼크, 폐혈증, 심장 부전 등에 의한 비 폐쇄성 허혈과 장 감돈, 혈전증, 장 폐색 등이 위장관 혈류를 직접 방해하는 폐쇄성 허혈(Occlusive ischemia)이 있다. 위장관 점막의 재관류 손상(Reperfusion injury)은 일차적으로 활성 산소 종 (과 산화물, 과산화 수소, 하디드록실 라디칼) 때문에 생긴다고 알려져 있고 활성 산소종은 점막 세포 내에서 생성된다. 또한 허혈 시기에 활성화된 수많은 국소 백혈구에서도 활성 산소종이 생성된다. 재 관류하는 동안 산소에서 유래한 프리 라디칼이 점막과 차단벽을 훼손하고 또한 세포를 직접 파손한다.
호중구와 GIB
감염, 허혈 또는 화학 물질에 의해 장점막 손상을 받을 때 류코트리엔, 인터루킨, 활성 보체 등 호중구를 유인하는 화학 물질(chemoattractant)을 생성한다. 이 화학물질이 상피 하 점막에 호중구 침윤을 촉진하며 호중구는 점막 상피를 뚫고 이동하기도 한다. 호중구가 장 점막 상피를 뚫고 나가려면 우선 접착반(tight junction)에 구멍을 내야 하고 접착반의 구멍은 필연적으로 장 투과성 증가를 야기한다. 접착반 손상이 경미할 때는 곧 치유, 밀봉 되지만 많은 숫자의 호중구가 접착반 구멍을 통해 이동할 때는 심각한 손상을 야기하여 장루수 증후군을 초래한다.
스트레스와 GIB
스트레스는 모든 질병의 원인 인자이며 스트레스 반응에는 수많은 호르몬과 사이토카인, 그리고 신경 전달 물질이 관여한다. 스트레스는 위 장관의 점막 혈류를 감소시켜 점막 차단벽의 통합성을 위협한다. 점막 혈류 감소는 점액 생산을 억제하고 수소이온의 역 확산 억제 능력을 제한하여 점막 미란이나 점막 궤양의 요인이 된다. 손상 후 치유 및 회복(Restitution & Healing After Injury) 위장관 상피 손상 후에는 손상 지역을 덮어 내인성 차단 기능을 재정립하는 일이 우선적이다. 신속한 상피층 회복은 먼저 복구(restitution)라는 과정을 거친다. 손상 부위 의 인근 상피 세포가 편평해지고 노출된 기저 막 위로 이동하는 것이다. 복구(Restitution)는 손상된 차단 벽을 신속하게 덮어주는 보호 기능이다. 상피 세포의 증식은 ‘복구’에 포함되지 않는다. 치유(healing)란 결손 부위 언저리에 있는 상피 세포가 증식하고 분화하여 결손 부위로 이동, 정상적인 세포 구조 및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다. 복구와 치유는 별도의 과정이다
복구 과정은 프로스타글란딘, 트레포일 단백질 등 여러 종류의 주변 분비 호르몬 조절에 의해 자극된다. 그 밖에도 스퍼민(spermine), 스퍼미딘(spermidine), 퓨트레신(putrescine) 등 폴리 아민이 복구 과정에 관여한다. 이들 물질은 다양한 식이에 들어 있고 또한 위장관 점막에서도 합성된다. 폴리아민을 복용하면 실험 동물에서 장점막 병변의 복구 및 치유를 촉진한다.
장누수증후군(6)
장 루수 증후군(LGS: Leaky Gut Syndrome)
한마디로 GIB가 손상되어 장 점막에 구멍이 뚫린 상태로 장 점막 투과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장 흡수 기능에 일대 혼란을 야기함으로써 수많은 건강 문제를 초래한다. 건강한 사람의 장 점막은 세균, 진균, 기생충 및 독성 물질이나 소화되지 않은 단백질, 지방, 기타 대사 폐기물을 흡수하지 않는다. 그러나 장점막이 손상되어 구멍이 뚫리면 장 투과성이 높아져 이들 유해 물질이 점막에 뚫린 구멍을 통해 흡수되어 혈류로 진입한다. 이 상태가 "leaky gut이다. 장점막이 신체에 필요한 영양소와 해로운 영양소를 구별하지 않고 뚫린 구멍으로 마구 흡수되는 누수 상태를 말한다.
소화관 점막에 구멍이 뚫리는(부착반, Desmosome 파손) 장 루수(leaky gut) 상태에서는 완전히 소화되지 않은 커다란 음식 분자, 내 독소(ednotoxins), 환경 호르몬(xenobiotics) 등이 장 점막에 뚫린 구멍을 통해 흡수되어 직접 혈류로 진입할 수 있다. 이들 유해 물질은 정상인의 혈류에 존재하면 안 된다. 이들 물질이 일단 장 점막을 통해 흡수되면 여러 가지 신체 문제를 야기한다.
첫째 간이 독성물질 해독을 위해 엄청난 부담을 짊어져야 하고 둘째, 면역계에서 이들 물질을 ‘이물질’로 간주하여 이 물질과 면역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퇴치 작전을 벌린다. 면역 복합체도 결국 간으로 이동하여 파괴시켜야 한다. 간 고유의 해독 능력을 초과하는 과중한 부담 때문에 간은 모든 유해 물질을 해독시킬 수 없어 간에서 부분적으로 해독시킨 독성 물질을 간과 지방 조직에 축적시킬 수 밖에 없다. 즉 LGS와 간 해독 기능 장애가 함께 동반되면 독성 물질이 지방 조직에 누적되고 면역 기능도 감소된다.
장벽의 통합성이 인체의 건강에 미치는 지대한 역할이다. GIB가 망가져 장 투과성이 커지면 감염, 음식 앨러지, 크론병, 소아 지방 변증(脂肪便症; celiac disease), 피부 질환, 대장염, 자가 면역 질환(류마티스 관절염, 강직 척추염 ‘Ankylosing spondylitis’, 라이터 증후군’Reiter’s syndrome’, 습진 및 알레르기 질환)을 야기할 수 있다. 라이터 증후군은 흔히 비 특이성 비 임균성 요도염에 뒤따라 나타나는 관절염, 요도염, 결막염의 3주징을 동반하며 남성에 호발 한다. 구내 염과 음경 귀두의 궤양이 관련될 수 있다.
Celiac disease(소아 지방 변증)
소맥, 보리, 귀리 등 gluten 함유 음식을 섭취하면 증삭이 발현되는 흡수장애 증후군이다. 소장의 염증, 미세 융모 소실, 장 흡수 장애가 특징이다. 글루텐에 민감한 장 병변이다 (gluten-sensitive enteropathy). Gluten은 불용성 식물 단백질이다.
Crohn’s disease (크론병)
장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며 재발이 흔하다. 장벽은 안쪽에서부터 점막, 점막 하 조직, 근육층, 장막의 4개의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크론병은 모든 층에 염증을 동반한다. 장의 모든 부위, 대소장 어디에도 생길 수가 있지만 주로 막창자와 연결되는 큰창자의 말단부에 호발한다. 장 전층의 염증으로 인해 장 폐쇄나 궤양을 만들고 가끔 천공되기도 한다
플라스미드(Plasmid)
핵 이외의 세포질 속에 있는 유전자 DNA. 주로 사립체, 색소체 따위의 세포 소기관에서 볼수 있는 DNA와 플라스미드 DNA를 통틀어 이른다. 세균 세포 내에서 발견되는 염색체 이외의 자가복제 유전자 구조로서, 세포성장에 필수적이 아닌 여러 가지 기능의 유전자를 가지고있다. 플라스미드는 숙주의 생존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세균 염색체와 어느 정도 관련을 가지며 독자적으로 복제하고, 다양한 형질을 숙주에 부가해, 딸 세포에 전달한다. 플라스미드 상에는 복제에 관한 유전자 외에, 약제 내성인자(R인자), 창자관 독소생성, 성 결정인자(F인자)등의 유전자를 갖고 있는 것이 있다. 전달성 플라스미드는 다른 균과의 접합을 유발시켜 자신의 DNA를 전달할 수 있다. 근래 플라스미드는 그 특성을 이용해서 유전 공학에 이용될 가능성이 있어서 크게 주목되고 있다. 세균 내의 플라스미드를 세포 밖으로 빼내고 제한 효소로 고리를 끊은 뒤, 가령 사람의 인슐린을 만드는데 관여하는 DNA 조각을 이에 끼워 맞춰 다시 세균의 세포 내로 돌려보내 넣어주면 이종의 DNA 조각을 가진 잡종 플라스미드는 정상적으로 증식하고 세균이 분열할 때마다 인슐린을 생성하게 된다
장 루수 증후군과 동반되는 질환 (Clinical Conditions With Altered Intestinal Permeability)
• 자가 면역 질환(Autoimmune disease) • 소아지방변증(Celiac disease) • 크론씨병 Crohn's disease • 환경 질환(Environmental illness) • 두드러기(Hives) • 여드름(Acne) • 앨러지(Allergies) • 염증성 관절 질환, 관절염(Inflammatory joint disease / arthritis) • 장 감염(Intestinal infections) • 췌장 기능 부전(Pancreatic insufficiency) •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 람블 편모증(Giardiasis) • 만성 피로 증후군(Chronic fatigue syndrome) • 습진(Eczema) • 건선(Psoriasis) • 음식 앨러지 및 민감성(Food allergies and sensitivities) • 간 기능 장애(Liver dysfunction) •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 과민성 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 흡수 장애(Malnutrition – Malabsorption) • 노화 촉진(Accelerated Ageing) • 내 독소 혈증(Endotoxemia) • 과민성 장 증후군(Irritable Bowel Disease) • NSAID 장 병변(Enteropathy) • 화학 요법(Chemotherapy) • 알코올 중독증(Alcoholism) • 에이즈(HIV Positive Status) 장루수 증후군의 원인 NSAIDS 사용, 장 감염, Dysbiosis, 기생충, 흡수 장애(Malabsorption), 면역 글로불린 결핍 , 앨러지 유발 음식 섭취, 상습 음주, 독성 화학물질 섭취, 외상, 내독소 혈증(Endotoxemia) 등이 흔한 원인이다 • 만성 스트레스(Chronic stress) • 장 감염(Intestinal infections) • 소장 세균 과증식(SIBO: Small intestine bacterial overgrowth) • 환경 오염(Environmental contaminants) • 과다 음주(Excess alcohol) • 불량한 식이(Poor diet) • NSAIDS 및 기타 약물 복용
Eubiosis & Dysbiosis
장 루수 증후군의 진단(Standard test for LGS) 만니톨(Mannitol) & 락튤로스(Lactulose) 테스트
둘 다 수용성 분자이며 신체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물질이다. 만니톨은 건강한 장 안감을 가진 사람은 쉽게 흡수할 수 있지만 락튤로스(Lactulose)는 크기가 커서 약간만 흡수된다. 만니톨과 락튤로스 두 가지 물질을 모두 함유한 액체를 마신 후 6시간 동안 소변을 수집하여 소변에 함유된 양을 체크하여 신체에서 흡수된 정도를 알아 낸다. 건강한 사람은 만니톨 레벨이 매우 높고 락튤로스 치는 낮다. 그러나 둘 다 모두 수치가 높으면 장 누수를 의심할 수 있다. 둘 다 낮은 수치를 보이면 모든 영양소 흡수 상태가 불량함을 의미한다.
장누수증후군의 원인
감염된 음식 및 음료
람블편모충(giardia lamblia), cryptosporidium, blastocystis hominis 등 기생충에 감염된 음식이나 헬리코박터(helicobacter pylori),클렙시엘라(klebsiella), citrobacter, 녹농균(pseadomoas)등 세균에 감염된 음료. 발효식품이나 가공식품(염료, 보존제, 과산화지질등)에 들어있는 화학물질 |
효소결핍(enzyme deficiencies)
소아지방변증(celiac disease), 락타제(lactase) 결핍, 아스피린(ASA), 이부프로펜(ibuprofen), 인도메사신(indomethancin) 등 NSAIDs |
콜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
프레드손(prednisone) |
정제된 탄수화물 식이(high refined carbohydrate diet)
캔디바, 쿠키, 케이크, 소프트드링크, 흰빵 등 |
호르몬제
피임약 |
곰팡이 독소(mycotoxicosis=Toxic mold poisoning)
저장 곡물, 과일, 정제 탄수화물 |
장 루수 증후군의 영양학적 의의
장 누수 증후군은 거의 대부분 자가 면역 질환을 동반하며 자가 면역 질환의 치료는 위장관점막 투과성을 정상화해야 한다. 자가 면역 질환은 면역계가 자신의 조직에 대해 항체를 만들어 내는 질병이다. 자가 면역 질환은 루푸스(Lupus), 탈모증(Alopecia), 류마티스 관절염(RRheumatoid arthritis), 다발성 근육통(Polymyalgia rheumatica),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섬유성 근육통(Fibromyalgia), 만성 피로 증후군(Cronic fatigue syndrome), 쉐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백납(Vitiligo), 갑상선염(Thyroiditis), 혈관염(Vasculitis), 크론병(Crohn's Disease),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두드러기(Urticaria), 당뇨병, 레이노드 질환(Raynaud's disease) 등이다
장점막 세포 사이공간이 정상보다 더 커져 있어 크기가 큰 단백질까지 흡수된다. 여태까지 무해하던 커다란 단백질을 면역계에서 ‘이물’로 간주하여 항체를 생산하기 시작한다. 동일한 음식이나 세균이 진입하면 신체 여러 조직에서 항원 항체 반응이 일어나 염증을 유발한다. 자가 항체가 형성되고 염증이 만성화된다. 이 염증이 관절에 생기면 자가 면역 관절염(류마티스 관절염)이 되고 뇌에서 일어나면 근육통성 뇌염(myalgic encephalomyletis, 만성 피로 증후군)이 된다. 또한 혈관에서 일어나면 혈관염이 되고 항체가 장점막의 안감을 공격하면 대장염이나 크론병이 된다. 동일 음식을 섭취하기만 하면 우선적으로 항체를 생산한다. 장 점막에 존재하는 SIgA 보호막에 손상을 초래하여 바이러스, 기생충, 세균, 칸디다 감염에 민감해지고 이들 병원체가 혈류를 침범하여 신체 조직이나 기관에 집락을 형성한다. 잇몸이나 치주 질환을 동반하는 이유다. 음식 앨러지 외에도 다수의 세균, 곰팡이, 기생충을 위시한 유해 물질이 장점막 벽을 침입하면 결국 간의 해독 능력을 초과하여 간 기능을 훼손하기도 한다. 장 누수 증후군은 미네랄 결핍을 초래한다. 소화기 내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운반 단백질(carrier protein)이 파손되기 때문이다. 식이나 보충제를 통해 마그네슘을 충분히 섭취해도 마그네슘 운반 단백질이 손상을 받으면 마그네슘 결핍을 초래하는 것이다. 근육통과 근육 경련이 일어나기도 한다. 아연 흡수 장애 때문에 아연 결핍증을 야기하여 모발 손실 및 대머리, 원형 탈모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구리 결핍에 의한 고 콜레스테롤 혈증 및 골 관절염, 기타 칼슘, 붕소(boron), 실리콘, 망간 흡수 장애로 뼈에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장 루수 증후군은 많은 중요 미세 영양소 흡수를 방해한다. 염증 때문에 부어 오르고 유해 화학 물질이 비타민과 필수 아미노산 흡수를 차단한다. 장 누수는 적절한 영양소 흡수를 방해한다. 가스, 더부룩함, 경련성 복통은 비타민과 미네랄 결핍 시에 나타난다. 결국 피로, 두통, 기억력 감소, 집중력 감소, 좌불안석 등 전신 증상을 동반한다. 항생제를 장기 복용하면 장내 유익 세균이 제거되어 곰팡이, 기생충 감염이 취약해진다. 유익균은 곰팡이나 기생충 감염을 방지하고 복합 음식을 분해하며 비타민 B12, 비오틴(biotin)등을 합성한다. 그러나 유익균이 없어지면 곰팡이나 기생충에 대한 국소적 방어 능력이 소실되어 관절염, 습진, 편두통, 천식, 기타 면역 기능 장애 증상 및 증후를 촉발하게 된다. 장내 세균 불균형과 장 누수 증후군은 식 후 더부룩함, 가스 및 변비설사 교대 증상이 생긴다. 이들 증상은 과민성 장 증후군(IBS) 또는 경련선 장 질환의 세트로 나타난다.
장누수증후군(7)
장 누수 증후군과 과민성 장 증후군(IBS)
IBS의 원인은 스트레스라는 것이 거의 인정되고 있다. 장 투과성 검사(만니톨, 락튤로스 검사), CDSA 또는 살아있는 세포의 암시야 현미경 검경(Live cell dark field microscopy)를 해보면 곰팡이, 기생충, 병원성 세균의 과 증식이 확인되기도 한다. 단세포 기생충인blastocystis hominis 와 칸디다 종이 IBS의 가장 흔한 미생물이다. 스트레스 관련 IBS는 장 누수 증후군에 의한 것이다. IBS를 치료 하지 않고 방치해두면 칸디다 증후군(candidasis syndrome), 화학물질에 대한 과민성(multiple chemical sensitivities), 만성 피로 증후군(chronic fatigue syndrome) 기타 수많은 자가 면역 질환이나 암 등 심각한 질병으로 진전되기도 한다. 치료에 대한 반응이 시원치 않다. 원인을 제거하고 위장관 기능을 개선시키며 장점막 내벽 기능을 정상화해야 한다.
장루수 증후군의 증상 리스트
만성 복통 불면증 배가 더부룩한(Bloating) 과다한 가스 유사초과민반응(Anaphylactoid reactions) 숨참(Shortness of breath 불안 원인불명열 글루텐 불내성(celiac disease) 치핵(Hemorrhoids) 가슴앓이(Heartburn) 영양결핍(Malnutrition) 편두통(Migraines) 근육 경련(uscle cramps) 다발성 화학물질 과민성(Multiple chemical sensitivities) 근육통(Muscle pain) 근막통(Myofascial pain) 불안정한 기분(Mood swings) 운동 내성 불량(Poor exercise tolerance) 면역 불량(Poor immunity) 기억력 불량(Poor memory) 재발성 방광감염(Recurrent bladder infections) 재발성 질 감염(Recurrent vaginal infections) 재발성 피부 발진(Recurrent skin rashes) 부셔지기 쉬운 손톱(Brittle nails) 탈모(Hair loss) 임파절 종창(Swollen lympth glands) 음식 앨러지(Food allergies) 변비(Constipation) 설사(Diarhhoea) 간 기능 장애(Liver dysfunction) 뇌 피로(Brain fatigue) 복부 경련(Abdominal 넴는) 항문 자극(Anal irritation) 지속적인 허기통(Constant hunger pains) 식욕 소실(Depleted appetite) 무기력감(Sluggishness) 우울증(Depression) 만성 피로(Chronic fatigue)
장누수증후군,유익한 보충제
천연 소화 효소(Natural digestive enzymes)
식물(bromelain, papain) 동물 췌장 조직(소, 돼지, 양), 알로에 베라 주스 |
위 증강 보충제(stomach enhancing supplements)
베타인(betain) 펩신(pepsin),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stomach bitters, 사과 사이다 식초
(apple cider vinegar) 아미노산[L-글루타민, N-acetyl-glucosamine (NAG)] |
필수 지방산(essential fatty acids)
milled flax, 아마씨 기름(flax seed oil), 달맞이꽃 종자유(evening primrose oil), 보라지 기름(borage oil),
올리브 기름(olive oil), 어유(fish oil), 블랙 큐란트 씨 기름(black current seed oil) 수용성 섬유(차전자피 껍질 및 가루, 사과 및 감귤 펙틴, 쌀에서 추출한 감마 오리자톨) |
항 산화제(antioxidants)
카로티노이드, 비타민 B군, 비타민 C, E, 아연, 셀레늄, 게르마니움, 코엔자임 Q10, 바이오플라보노이드
특히 퀘르세틴, 카테킨, 헤스테리딘, 루틴) 프로안토시아니딘(피그노제놀, 포도씨 추출물, 소나무 껍질 추출물, , 월귤나무(bilberry), 약용식물(herbs) |
식물 추출물(plant extracts)
kudzu, various high chlorophyll containing green drinks like spirulina, chlorella and blue-green algae, burdock, slippery elm, Turkish rhubarb, sheep sorrel, licorice root, ginger root, goldenseal, bismuth and bentonite. |
|